https://ko.wikipedia.org/wiki/%ED%81%B4%EB%9D%BC%EC%9A%B0%EB%93%9C_%EC%BB%B4%ED%93%A8%ED%8C%85
클라우드 컴퓨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Question and Answer
Q1. 하나의 가상 서버는 여러개의 하드웨어 서버로 구성할 수 있다.
A. 참
Q2. 다음 정의가 설명하는 개념은 무엇인가?
The ability to run multiple operating system on a single physical system and share the underlying hardware resources.
1. parallel computing
2. cloud computing
3. vmware
4. virtualization
A. 4 - virtualization
Q3. 개념과 정의를 연결하시오.
providers offer virtual machines, virtual-machine image libraries, raw(block) and file-based storage, firewalls, load balancer, IP addresses, virtual local area networks(VLANs), and software bundles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an application is hosted as a service provied to customers across the Internet
--> SaaS(Software as a Service)
Provides a computing platform and a solution stack as a service
--> PaaS(Platform as a Service)
Q4. cloud computing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stick to our business
2. cost control
3. reduce IT staff
4. business agility
A. 3 - reduce IT staff
Q5. cloud computing을 설명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flexibility and elasticity
2. open source
3. always on, anywhere and any place
4. pay as much as used and needed
A. 2 - open source
Q6. 전통적인 서버 개념에서는 시스템 관리자는 서버를 지칭할 때 cpu, 메모리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A. 거짓
Q7. hypervisor는 각 가상 머신의 guest 운영체제를 관리한다
A. 참
Q8. 가상 서버의 단점은 무엇인가?
1. 중복성이 극대화 되었다
2. 새로운 서버를 사용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3. 전통적인 서버에 비해서 비용이 더 든다.
4. 서버가 동작하는 중에는 cofigure를 할 수 없다
A. 3 - 전통적인 서버에 비해서 비용이 더 든다
Q9. 전통적인 서버 개념의 장점은?
1. 복제하기 쉽다
2. 확장성이 높다
3. 구매 비용은 비싸지만 유지보수 비용은 싸다
4. 쉽게 개념화 할 수 있다.
A. 4 - 쉽게 개념화 할 수 있다
Q10. 클라우드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인데 사용자는 컴퓨터 자원을 독점적으로 사용한다
A. 거짓
'대학교 공부 & 과제 2016~2022 > 시스템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gQuery를 통한 재무 시계열 분석 - 6주차 과제 (0) | 2022.06.24 |
---|---|
How to build a web app using Python's Flask and Google App Engine 따라하기 - 5주차 과제 (0) | 2022.06.24 |
GCP의 VM instance에서 LAMP stack 설치하고 운영 (4주차 과제) (0) | 2022.06.24 |
Google Cloud Computing(Concepts & Services) (0) | 2022.06.24 |
System Administration & about the Sysadmin (0) |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