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방식과 POST 방식 HTTP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으로 Web-Client와 Web-server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GET과 POST 메소드는 HTT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지원하는 7가지 메소드 중 일부이다. 🔥 HTTP통신 할때 보내는 데이터는 HTTP 패킷이라 하는데 해당 패킷의 구조는 크게 Header 영역과 Body영역으로 나누어진다. Header에는 크게 여러가지 정보와 어떠한 방식의 메소드를 사용 하였는지에 대해 적는다. 또한 어떠한 메소드 방식을 사용하였는지에 따라 Body 영역의 사용 유무 및 사용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GET 방식 GET 방식의 특징으로는 대표적으로 URL에 Parame..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REST API란 Rest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를 의미한다. REST API를 알기 위해 REST부터 알아보자 REST란?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REST란HTTP URL(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 PATCH 등)를 통해해당 자원(URL)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한느 것을 의미한다.CRUD ..
Synchronous(동기식) / Asychronous(비동기식)1. 동기식(synchronous)🔥 동기식 통신 및 동기식 프로그래밍이란 Synchronous란 뜻대로 동시에 일어난다는 뜻이다.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은 Request를 보내게 된다면 얼마나 시간이 걸리든 그 자리에서 Response를 받는다는 말이다. 즉, 두 서버 사이의 Transaction을 맞추겠다는 의미이다.🔥 Synchronous에서는 Request를 보내면 Response를 기다리기 때문에 Request를 보낸 Thread는 Response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Block 상태가 됨을 의미한다. 2. 비동기식(asychronous)🔥 비동기식 통신 및 비동기식 프로그래밍이란 Asynchromous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