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js MVVM패턴의 뷰 모델 레이어에 해당하는 화면단 라이브러리 양방향 라이브러리 데이터 변화를 라이브러리에서 감지해서 화면에 그려줌 --> 반응형 지원 *MVVM - 모델, 뷰, 뷰모델로 이루어진 패펀 *MVC 모델, 뷰,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패턴 *MVVM MVVM은 뷰모델을 지원하므로 뷰가 필요한 데이터와 커맨드 제공 컴포넌트(블럭 같은 것) 간의 통신이 Vue, Angular는 양방향, React는 단방향 - 데이터 바인딩과 화면 단위를 컴포넌트 형태로 제공하며, 관련 API를 지원하는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음 - Angular에서 지원하는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을 동일하게 제공 - 다른 프레임워크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가볍고 빠름 - 문법이 단순하고 간결하여 초기 학습 비용이 낮고 누구..
변수 '이름이 붙은 저장소' or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변하는 데이터(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var, let, contst *var의 변수 스코프는 function 단위 *const/let은 block 단위 {}, const는 상수, let은 변수 var / let 변수를 선언하는 키워드로 리터럴 값의 재할당이 가능함 const 상수를 선언하는 키워드로 선언과 동시에 리터럴 값을 할당해 줘야함 (const x = 2;) 리터럴 값의 재할당이 불가능하고, 재할당, 재선언이 모두 불가능함 * var, let, const 정리 변수 범위(Scope) 변수 선언 특징 함수 레벨 스코프 var · 변수를 중복해서 선언할 수 있다. · 함수 블록내에서 선언하면 지역 변수 블록 레벨 스코프 let ..
자바스크립트란?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고안된 언어이다. "웹 페이지에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해" 전체가 사람이라면 HTML - 뼈대 CSS - 생김새 JS - 움직임 자바스크립트의 강점 1) HTML/CSS 완전한 통합가능 2)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는 일은 간단히 처리 3) 모든 대표적인 브라우저에서 지원되고, 기본 언어로 사용됨 자바스크립트 이후의 언어? - CoffeeScript : 짧은 문법을 도입하여 명료하고 이해하기 쉬운 코드 작성 가능 - TypeScript : 개발을 단ㅅ눈화하고 복잡한 시스템을 지원하려는 목적 ' 자료형의 명시화'에 집중해 만든 언어(MS사 개발) - Flow : 자료형 강제(TypeScript와는 다른 방식, Facebook 개발) - Dart : 모바일 앱..
Date https://www.w3schools.com/jsref/jsref_obj_date.asp JavaScript Date Reference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he major languages of the web. Covering popular subjects like HTML, CSS, JavaScript, Python, SQL, Java, and many, many more. www.w3schools.com https://ko.javascript.info/date Date 객체와 날짜 ko.javascript.info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
문서 객체 모델 -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어로 DOM이라고도 함 - 웹 문서를 로드할 때, 브라우저는 구성 요소들을 객체화하여 트리 구조의 DOM 생성 - HTML DOM은 HTML 구성요소들을 획득, 변경, 추가, 삭제하기 위한 표준 - HTML 문서를 브라우저에서 로드 시 각 구성요소들을 객체화하여 객체 트리 구조를 나타냄 위의 HTML의 문서 객체 구조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트리 구조로 되어있다. 즉 그림을 거꾸로 뒤집으면 나무가 가지를 뻗은 모양과 비슷하다. 여기서 html 태그는 뿌리(root)를 의미한다. 이 뿌리로 부터 가지처럼 뻗어나가는 것을 노드라고 한다. DOM의 기능 1.HTML 문서에 대한 모델 구성 브라우저는 HTML 문서를 로드한 후 해당 문서에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